2025년 7월 22일부터 애플페이가 티머니 교통카드를 정식으로 지원한다. 아이폰과 애플워치를 이용한 실물 카드 없는 대중교통 탑승이 가능해지며, 선불충전 방식으로 지하철·버스 등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현재 현대카드로만 충전 가능하며, 신한·국민카드 등도 연동을 준비 중이다.
애플페이, 드디어 대중교통 결제 지원…아이폰으로 출퇴근이 쉬워진다
2025년 7월 22일, 애플 사용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그동안 국내 애플페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요구되어 온 ‘교통카드 기능’이 드디어 도입되었다. 애플페이가 티머니 교통카드와의 연동을 통해, 아이폰과 애플워치만으로도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로써 아이폰 사용자들도 실물 교통카드를 소지하지 않고도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그동안 삼성페이나 페이코 사용자들이 누렸던 편리함을, 이제 애플페이 이용자들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교통카드 등록 방법 및 이용 방식
이번 연동 서비스는 애플페이 앱 내 '교통카드' 탭에서 '티머니'를 추가함으로써 시작된다. 기본적인 사용 절차는 아래와 같다.
- 애플페이 앱 실행 → 교통카드 탭 진입
- '티머니' 카드 선택 후 추가
- 1만원, 3만원, 5만원 등 금액 충전
- 아이폰 또는 애플워치를 단말기에 태그해 결제
선불충전 방식, 결제는 현대카드로만 가능
이번 서비스는 선불 충전형 구조로 운영된다. 즉, 일정 금액을 미리 충전한 후 사용하는 방식이다. 충전은 애플페이에 등록된 현대카드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현재 애플페이를 정식 지원하는 카드사도 현대카드가 유일하다.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등 주요 카드사들도 애플페이 연동을 준비 중이므로, 향후 지원 폭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서비스 도입의 의의와 한계
애플페이는 2023년 3월 한국 시장에 처음 진출했으나, 그간 사용 가능 매장은 편의점 및 일부 프랜차이즈에 국한돼 있었고, 교통카드 기능이 빠져 있어 아쉬움이 컸다. 이에 따라 "삼성페이보다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온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번 교통카드 기능 연동은 그 한계를 극복하고 본격적인 간편결제 시장 경쟁에 뛰어드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교통카드는 일상생활 속 가장 빈번한 결제 영역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티머니의 조용한 개시
흥미롭게도, 이번 서비스 개시는 공식 기자회견이나 대대적인 보도자료 없이 조용히 시작되었다. 지난달 티머니는 자사 SNS를 통해 "아이폰과 애플워치에서 곧 티머니가 가능해진다"는 예고를 남긴 바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고, 앱 업데이트를 통해 7월 22일부터 기습적으로 개시되었다.
향후 기대 포인트
다른 카드사와의 연동 확대
- 현대카드 외의 신용카드사들도 빠른 시일 내 애플페이와의 연동을 추진 중이다. 사용 편의성과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후불 교통카드 기능 도입 가능성
- 현재는 선불 충전형 구조이지만, 추후 후불 방식도 가능해진다면 실질적인 활용도는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앱 내 교통정보 연계 등 기능 강화 기대
- 티머니와 애플이 추가로 앱 내 서비스 강화(이용 내역 조회, 자동 충전 설정 등)를 도입할 가능성도 있다.
아이폰 사용자들의 새로운 일상
애플페이의 티머니 교통카드 지원은 단순한 기능 추가를 넘어, 애플 생태계의 국내 정착을 가속화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이제 아이폰만 들고 나가도 지갑이 필요 없는 진정한 '모바일 온리 시대'가 현실화된 셈이다.
앞으로 출퇴근길, 외출길마다 “실물 카드가 없는데도 지하철이 된다”는 경험은 애플페이를 사용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편리함과 만족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요약 정리
- 시행일: 2025년 7월 22일부터
- 지원기기: 아이폰, 애플워치
- 지원카드: 티머니 (선불충전 방식), 충전은 현대카드만 가능
- 이용방법: 애플페이 앱 > 교통카드 탭 > 티머니 추가 및 충전
- 추가 기능: 후불형 미지원 (향후 확대 가능성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