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 총정리: 다이소·올리브영·편의점 소비쿠폰 가능 매장 찾는 방법

by journal2708 2025. 7. 30.
반응형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브랜드만 보고 갔다가 결제 거절당한 경험 있으신가요? 다이소·올리브영·편의점 등 실제 사용 가능한 가맹점 찾는 방법과 배달앱·키오스크 결제 주의사항까지 총정리했습니다. 소비쿠폰을 똑똑하게 쓰는 5가지 원칙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2025년 7월 21일부터 본격적으로 지급된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1인당 최대 15만 원의 혜택이 제공되며, 소상공인을 돕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책의 일환입니다.
하지만 실제 사용 과정에서 "같은 브랜드인데 왜 안 되는 거지?"라는 당혹감을 겪은 소비자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이소, 올리브영, 편의점 등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민생지원금 사용 가능한 가맹점 확인법과 실제 사용 팁
까지 종합 정리하였습니다.

 

 민생지원금 기본 사용 조건

소비쿠폰은 아무 매장에서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음의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1. 주민등록상 주소지 내 사용
    • 광역시 거주자는 해당 시 전역 사용 가능
    • 도(道) 지역 거주자는 동일 시·군 내에서만 사용 가능
  2.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매장
    • 대형마트, 백화점, 직영점, 프랜차이즈 직영 매장 사용 불가

*같은 브랜드라도 운영 방식이 다르면 소비쿠폰 사용 가능 여부도 달라집니다.

브랜드별 사용 가능 여부 및 확인 방법

1. 다이소

  • 전체 매장 수: 약 1,500개
  • 가맹점 비율: 약 30%
  • 주의사항: 대부분이 본사 직영이라 쿠폰 사용 불가

사용 가능 매장 찾는 방법

  • 다이소 공식 홈페이지 → 매장 찾기 → 지점명 검색
  • ‘소비쿠폰 사용 가능’ 태그 표시 여부로 가맹점 확인 가능

2. 올리브영

  • 전체 매장 수: 약 1,379개
  • 가맹점 수: 약 154개 (약 11%)
  • 주의사항: 대형 도심 매장은 대부분 직영점

사용 가능 매장 찾는 방법

 

3. 편의점 (CU, GS25 등)

  • 편의점은 대부분 가맹 형태이지만, 일부 점포는 본사 직영 또는 특수 매출 구조로 인해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 매장 확인 방법

  • 카드사 앱에서 지역 + 편의점 브랜드명으로 검색
  • 방문 전 점포에 유선 문의 권장

배달앱에서 쓸 수 있을까? 조건부 가능

❌ 일반 배달 결제 = 대부분 사용 불가

  • 앱에서 카드 등록 → 결제 시, 플랫폼사(PG사)를 통해 정산되기 때문에
    매장 개별 정보(매출, 주소지 등)를 확인할 수 없어 사용 제한

✅ 가능 방법: ‘만나서 결제’ 기능 이용

  • 배달원이 매장 단말기를 들고 방문해 고객과 직접 결제
  • 이 방식은 지역과 매출 조건 확인이 가능하므로 사용 가능
  • 현재 배달의민족은 약 20만 개 매장에서 해당 방식 지원

* 단, 사전 요청 필수. 배달 전 전화로 ‘소비쿠폰 만나서 결제 가능 여부’ 반드시 확인 필요

키오스크·테이블오더는 대부분 불가

  • 키오스크·테이블오더 등 무인결제 시스템은
    다수 매장의 결제가 묶여 전송되는 구조(PG사 방식)
  • 이로 인해 매장별 조건 확인이 어려워 소비쿠폰 결제 대부분 불가
  • 직원에게 직접 결제 요청하는 방식만 사용 가능

소비쿠폰 사용 요약 정리

구분                                                                요약 설명
✅ 사용 가능 조건 거주지 내, 연매출 30억 이하 가맹점
❌ 사용 불가 매장 직영점,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 사용 가능 브랜드 일부 다이소·올리브영·편의점 가맹점
📱 확인 방법 카드사 앱, 공식 홈페이지, 매장 방문 문의
🚚 배달앱 사용법 '만나서 결제' 방식만 가능 (사전 문의 필수)
🧾 기타 팁 키오스크·테이블오더는 가급적 피하기

 

브랜드보다 ‘운영 형태’를 보세요

이번 민생지원금 소비쿠폰의 핵심은 운영 주체가 ‘소상공인’인가 아닌가입니다.
브랜드가 아닌, 개별 매장의 운영 구조(가맹 vs 직영)가 사용 여부를 좌우하므로소비자는 사용 전 매장 검색 및 확인을 반드시 거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한 쿠폰 이상의 의미를 지닌 이번 정책, 소상공인에게 도움이 되고 나에게도 실속 있는 소비로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반응형